컴퓨터를 통해 강의를 녹화하거나 PPT 프레젠테이션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을 보면 화면에 무엇인가를 그리거나 박스로 표시하는 등 다양한 색으로 표시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색상으로 박스를 만들거나 화면에 무엇인가 그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이 '줌잇'이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화면에 무엇인가를 그릴 때에도 많이 사용하지만 블로그 운영자라면 꼭 알고있어야 하는 프로그램 중 한 가지입니다. 블로그에 업로드할 사진을 편집하면서 중요한 부분에 표시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줌잇을 다운로드하고 사용방법까지 알아보면서 줌잇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줌잇(ZoomIt) 최신버전 다운로드 및 설정
원래 줌잇은 개인용 소프트웨어라 개발자님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를 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포럼에서 공식으로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줌잇은 설치를 하는 다른 프로그램의 방식과 다르게 포터블 무설치 버전입니다.
줌잇 최신버전 다운로드는 위 링크로 접속하여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용량도 적기 때문에 위 링크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파일을 다운로드하시기 바랍니다.
줌잇 다운로드 파일은 다운로드한 후 압축을 해제하여 폴더를 확인해보면 위 이미지처럼 4개의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ZoomIt.exe를 실행하여 줌잇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ZoomIt.exe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어떤 창이 뜨게 되는데 여기에서 약관에 동의를 합니다. 약관에 동의를 하고 난 후 ZoomIt 창이 켜진다면 아래 단계를 진행하면 되지만 어떤 것도 뜨지 않는다면 우측 하단에 작업표시줄에서 줌잇을 마우스 우클릭 후 Options을 클릭합니다.
줌잇(ZoomIt) 사용방법
이 창이 옵션창인데 여기에서 여러 설정과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무설치 포터블 버전이기 때문에 윈도우가 시작되자마자 시작되도록 하기 위해 아래에 Run ZoomIt when Windows starts를 체크 합니다.
줌잇은 Zoom/ LiveZoom/ Draw/ Type/ Break 이렇게 5가지의 탭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단축키는 상황에 맞게 설정을 하면 됩니다. 필자의 경우 이미 등록된 것이 있어 Ctrl + Shift + 1로 설정을 하였습니다. 5가지의 탭을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Zoom : 줌을 하는 것입니다.
LiveZoom : 간단한 확대가 실행되며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Draw : 줌잇의 가장 핵심 기능이며 화면에 드로잉이 가능합니다. 각종 단축키를 통해 사각형, 화살표, 직선, 색상 변경 등을 할 수 있습니다.
Type : 텍스트 모드의 글꼴을 지정합니다.
Break : 컴퓨터 사용을 하지 않을 때 화면 보호기 모드로 변경을 할 수 있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Draw의 기능에서 다양한 단축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Draw를 활성화하는 단축어를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ML : 마우스 왼쪽
-마우스 왼쪽 클릭 드래그 : 자유롭게 그린다.
- Ctrl + ML드래그 : 직사각형을 그린다.
-Shift + ML드래그 : 화살표를 그린다.(클릭한 곳이 화살표 머리가 된다)
-Ctrl + Shift + ML드래그 : 화살표를 그립니다. (클릭 시점이 화살표 머리가 됨)
-T : 텍스트 모드로 변경합니다. (영어와 숫자만 입력 가능)
-Ctrl + 화살표 위 (혹은 휠 위로) : 두껍게
-Ctrl + 화살표 아래 (혹은 휠 아래로) : 얇게
-O : 오렌지색으로 변경
-R : 빨간색으로 변경
-P : 보라색으로 변경
-Y : 노란색으로 변경
-B : 파란색으로 변경
-G : 녹색으로 변경
-K : 화면 전체가 검은색이 됩니다.
-W : 화면전체가 흰색이 됩니다.
이렇게 줌잇의 사용방법과 줌잇의 핵심 기능인 Draw의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블로그 운영자라면 사진 등을 편집할 때 표시를 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단축키를 익히면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 글을 마치겠습니다.
추천 콘텐츠
'IT > Software(유틸리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멜웨어 제로(Melware zero) 악성코드 제거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사용법 (0) | 2022.11.04 |
---|---|
블로그 운영자가 꼭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 (0) | 2021.04.01 |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 다운 및 수명확인 (1) | 2021.03.16 |
멜론 플레이어 설정 및 다운 (0) | 2021.02.24 |
3DP chip과 3DP NET 다운로드 및 사용법(최신버전) (0) | 2021.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