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시된 메인보드와 공유기에는 WOL이라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생각을 해보면 컴퓨터에 항상 켜져 있는 것은 인터넷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랜선은 항상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꽂혀있기 때문입니다. WOL의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집에 컴퓨터가 있다면 유무선 공유기 1대씩은 사용을 하고 계실 것입니다. 간단하게 유무선 공유기에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는 길을 만들고 사용자의 정보와 일치하다면 외부에서 공유기로 접속하여 공유기와 연결되어 있는 PC에 신호를 보내 컴퓨터의 랜카드에서 메인보드로 신호가 이동하여 컴퓨터가 켜지는 원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의 순서에 맞춰 WOL을 설정해 원격으로 컴퓨터를 켜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WOL이란?
5.앱 설치와 설정
1. WOL이란?
Wake-On-Lan의 약자로 컴퓨터에 항상 꽃혀있는 랜선을 이용해 네트워크 메시지를 보내 랜 카드를 거쳐 메인보드로 신호를 보내 컴퓨터를 원격으로 켜는 기능이다.
2. 윈도우 설정
WOL기능을 사용하기 앞서 윈도우에서 설정을 해야 하는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제어판을 검색하여 제어판에서 장치 관리자로 들어갑니다. 그럼 네트워크 어댑터에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있습니다. 필자는 인텔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인텔은 전원 관리가 매우 쉽게 되어 있습니다. 전원 관리에서 절전 옵션을 위처럼 해주시고 WOL에 관련된 항목을 모두 활성화시켜주시면 됩니다. 리얼텍이나 인텔 인터넷 드라이버를 많이 사용하실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 절전에 관련된 모든 항목을 꺼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WOL에 관련된 모든 항목을 활성화시켜주시면 됩니다. 제조사나 각각에 환경에 따라 이름이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 항목을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3. 바이오스 설정
바이오스 설정도 해주어야 합니다. 바이오스에 들어가서 WOL관련 항목을 사용으로 ErP는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을 합니다 ErP는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절전과 관련된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메인보드에 제조사에 따라 Power On By PCIE 항목과 매직 패킷 등 관련 항목을 활성화시켜주면 메인보드에 대한 설정은 마무리가 됩니다. 자세한 것은 자신의 메인 보드명을 검색하여 WOL 설정하는 방법을 검색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공유기 설정
공유기에서도 WOL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 공유기는 가장 많은 분들이 사용하시는 iptime공유기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공유기의 관리창에 접속하시면 좌측에 고급 설정→특수기능→WOL기능이 있습니다. 이곳에 접속하여 좌측에 "현재 접속된 PC의 MAC 주소로 설정을 클릭하고 PC 설명을 입력합니다. PC설명은 본인이 이 PC를 확인하는 용도임을 참고하고 적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추가"를 눌러 추가를 하면 됩니다.
그다음으로 공유기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한 포트가 필요합니다.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서 고급 설정→보안 기능→공유기 접속/보안관리로 들어옵니다. 이곳은 통신사마다 막아놓은 포트들이 있습니다. 필자는 현대 8080번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 8080번으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접속 포트는 충돌이 나지 않는 49152 ~ 65535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만 충돌이 나지 않는 번호를 알고 있다면 그 번호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다음으로 DDNS를 설정해야 합니다. DDNS를 설정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우리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내부 내트워크로 접속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래서 외부에서 내부로 접속을 할 수 있도록 길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DDNS를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앱 설치와 설정
여기까지 하시면 WOL설정을 모두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외부에서 컴퓨터를 켤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iptime WOL이라는 앱을 설치하여 스마트폰에서 PC를 켤 수 있는 설정을 계속해서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앱을 설치하고 앱을 실행하면 공유기를 자동으로 검색할 것인지, 아니면 수동으로 추가할 것인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추가를 선택해주세요.
그리고 여기서 부터가 중요합니다. 외부 IP는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 회사의 IP가 표시되며 외부에서 접속하도록 도와주는 문자의 주소를 DDNS 주소에 입력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는 아까 설정했던 원격 접속 포트를 적어줍니다. 그리고 아래에 공유기 추가 완료를 눌러줍니다.
관련글
많은 도움되셨다면 공감 버튼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IT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하지 않는 공유기로 집 와이파이 증폭시키기 (0) | 2019.07.21 |
---|---|
스마트폰을 컴퓨터에 연결해 알림 확인하는 방법 (0) | 2019.07.18 |
스마트폰 소리 컴퓨터에서 듣는 방법 (6) | 2019.05.05 |
내 컴퓨터 CPU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 (0) | 2019.03.01 |
내 컴퓨터 그래픽 카드 확인 하는 방법 (0) | 2019.01.14 |
댓글